□ 주요내용
○ 7월 26일 모더나 백신을 맞은 20대가 7월 31일 혈전증 증상으로 병원 이송 후 수술을 받았으며, 8월 5일 지역 방역당국에서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항체검사(PF4 ELISA) 의뢰하였으나 질병청이 거부함
※ 상기 환자는 8월 7일 사망함
□ 설명 내용
○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코로나19 백신*에서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됨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2021년 5월부터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항체검사(PF4 ELISA)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 중입니다.
* 국내 사용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 아스트라제네카社, 얀센社 제품
○ 상기 보도사례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이 아닌 모더나社의 mRNA 백신이며, 환자의 응급실 내원 시점에서 혈소판 수 검사 결과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추정사례 기준에 부합하지 않았습니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추정사례 항체검사 의뢰 기준>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http://ncv.kdca.go.kr)
○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신고된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항체검사 의뢰 및 실시된 사례는 총 103건이며, 이중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과 관련된 사례가 100건, mRNA 백신과 관련된 사례*가 3건입니다.
* 질병관리청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뿐 아니라 mRNA 백신에 대해서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필요시 항체검사를 의뢰하고 있음
○ 질병관리청은 해당 사례의 심층역학조사가 완료되는 즉시, 혈전이상반응과 백신의 인과성 여부 검토를 위해 마련된 코로나19 혈액응고전문가 자문단의 의견을 구하고,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에서 인과성 평가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 질병관리청은 국민들이 안심하고 백신을 접종하실 수 있도록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두어, 지속적으로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조사 및 감시체계를 수정‧보완하겠습니다.
'코로나 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기화되는 국민 불편, 4차 유행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 | 2021.08.12 |
---|---|
이번 광복절 연휴는 집에서 안전하게 (4) | 2021.08.11 |
8~9월 접종계획에 따라 예방접종 실시 (6) | 2021.08.10 |
주간 1일 평균 환자 수 수도권 감소, 비수도권 증가 (2) | 2021.08.09 |
[카드뉴스]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거리두기 2주간 연장(8.9. ~ 8.22.) (7)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