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1일 평균 환자 수 수도권 감소, 비수도권 증가
- 도축장, 육류가공업체 등 감염 위험시설에 대한 선제적 방역 관리로 지역사회 감염 확산 차단 -
- 수도권은 완만하게 감소 중(959.7명 → 936.6명), 비수도권은 증가(546.2명→558.8명)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김부겸)는 오늘 권덕철 1차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도축장 등 방역관리 현황 및 대책 ▲육류가공업체 코로나19 방역대책 강화방안▲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1. 도축장 등 방역관리 현황 및 대책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로부터 ‘도축장 등 방역관리 현황 및 대책’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전국 136개 도축장 및 축산물 도매시장 종사자의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지자체 등의 상시점검과 농식품부 불시 점검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 각 도축장에 상주하는 도축 검사관(지자체) 및 품질평가사(축산물품질평가원)를 통해 주 1회 상시 점검을 실시하고,
- 과거 확진자가 발생했거나 공판장·도매시장을 같이 운영하는 외부인 출입이 잦은 도축장의 경우 농식품부 점검반을 통해 불시에 점검하고 있다.
○ 또한, 도축장 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축산물의 안정 수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백신 접종을 추진하고 있다.
- 도축장 종사자 2만 3천여 명 중 작업단계별 감염 위험성을 고려하여, 이 중 7,277명을 지자체 자율접종 대상자로 분류하여 접종하고 있다.
○ 아울러, 그간 이상증세가 있는 경우 개별적으로 실시하던 PCR 검사를 업체 단위로 일괄하여 선제검사를 실시하는 방안을 질병관리청, 지자체와 계속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2. 육류가공업체 코로나19 방역대책 강화방안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로부터 ‘육류가공업체 코로나19 방역대책 강화방안’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코로나19 감염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육류가공업체*에 대해 방역 점검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 식육포장처리업(식육을 절단 또는 분쇄하여 포장육을 만드는 영업)과 식육가공업(햄, 소시지 등 식육가공품을 만드는 영업)
○ 지자체와 함께 육류가공업체의 방역점검을 지속 실시하고, 특히 도축장이 내부에 위치한 육류가공업체에 대해서는 점검빈도를 높여 방역수칙 이행 여부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다.
○ 또한, 육류가공업체의 작업 환경이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마련한 ‘육류가공업체 생활방역 세부지침’에 ▲외부인의 출입관리를 강화하고, ▲공용 공간 이용 시 거리 두기 등 종사자의 방역 관리, ▲확진자 발생 시 행동요령 등을 추가 반영하였다.
* 습기가 많은 환경, 육체노동으로 공기흡입 증가 가능, 일부 공정과정(발골, 포장 등)에서 밀집된 환경, 마스크의 지속 착용이 어려운 탈의실 등 공용시설 이용 등
- 아울러, 방역 세부지침을 외국인 종사자 대상 교육·홍보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기존 영문본과 함께 3개국(중국어·베트남어·태국어)어로 추가 번역하여 제공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그림(인포그래픽) 등을 통해 지속 홍보할 계획이다.
○ 한편, 외부인과 접촉 가능성이 높은 종사자(운송기사, 영업사원 등)를 대상으로 주기적 검사를 받도록 권고할 계획이다.
3. 방역 관리 상황 및 위험도 평가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매주 방역 관리 상황과 위험도를 평가하며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 지난 한 주(8.1.~8.7.) 1일 평균 국내 발생 환자 수는 1,495.4명으로 그 전 주간(7.25.~7.31.)의 1,505.9명에 비해 10.5명 감소하였다.
○ 1일 평균 60세 이상 국내 발생 환자 수는 181.7명으로 그 전 주간(7.25.~7.31.)의 158.1명에 비해 23.6명 증가하였다.
< 최근 방역 관리 상황 비교 >
7.11~7.17 | 7.18~7.24 | 7.25~7.31 | 8.1~8.7 | ||
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 | 1,347.9명 | 1,465.0명 | 1,505.9명 | 1,495.4명 | |
60세 이상 | 102.9명 | 132.4명 | 158.1명 | 181.7명 | |
해외유입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수 | 47.9명 | 87.0명 | 63.4명 | 59.9명 | |
집단 발생1) (신규 기준) | 115건 | 95건 | 80건 | 30건 | |
감염 경로 조사 중 비율 | 29.0% | 26.9% | 25.4% | 27.7% | |
방역망 내 관리 비율2) | 40.0% | 43.4% | 43.9% | 40.5% | |
즉시 가용 중환자실 | 546개 (7.17.17시기준) |
450개 (7.24.17시기준) |
360개 (7.31.17시기준) |
312개 (8.7.17시기준) |
1) 집단 발생 건수는 신고일 기준 (신규 확진자 수·감염경로 조사 중 비율은 보고일 기준)
2) 방역망 내 관리 비율 : 신규 확진자 중 자가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사람의 비율
※ 조사 결과에 따라 추후 변동 가능
○ 지난 한 주(8.1.~8.7.) 1일 평균 수도권 환자는 936.6명으로 지난주(959.7명)에 비해 23.1명 감소하였으며, 비수도권 환자는 558.8명으로 지난주(546.2명)에 비해 증가하였다.
< 권역별 방역 관리 상황(8.1~8.7.)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 | 제주 | ||
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 | 936.6명 | 159.3명 | 48.6명 | 101.4명 | 202.9명 | 28.6명 | 18.1명 | |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 | 3.6명 | 2.9명 | 1.0명 | 2.0명 | 2.6명 | 1.9명 | 2.7명 | |
즉시 가용 중환자실(8.7. 17시기준) | 148개 | 29개 | 27개 | 41개 | 51개 | 8개 | 8개 |
□ 정부는 선제적인 진단검사를 확대하여 적극적으로 환자를 찾고, 역학조사를 통한 추적과 격리를 실시하는 등 강화된 방역 대응을 유지하고 있다.
○ 어제도 전국의 선별진료소를 통해 3만 1515건, 임시 선별검사소를 통해 7만 4864건의 검사가 이루어졌다.
- 익명검사가 가능한 임시 선별검사소는 총 182개소*를 운영 중이며, 그간(12.14.~8.8) 총 1002만 7464건을 검사하였다.
* 수도권 : 136개소(서울 56개소, 경기 70개소, 인천 10개소)
비수도권 : 46개소(전남 8개소, 울산 7개소, 경남 7개소, 충남 4개소, 부산 4개소, 대전 4개소, 대구 3개소, 전북 3개소, 강원 2개소, 경북 2개소, 광주 1개소, 세종 1개소)
- 정부는 임시 선별검사소에 의료인력 645명을 배치하여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 어제는 하루 동안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481명의 환자를 찾아냈다.
□ 코로나19 환자의 증가에 따라 치료 병상을 지속 확충하고 있다.
○ 생활치료센터는 총 77개소 16,683병상을 확보(8.8.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57.1%로 7,162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 이 중 수도권 지역은 13,054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57.2%로 5,59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8,330병상을 확보(8.7.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72.7%로 2,278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735병상의 여력이 있다.
○ 준-중환자병상은 총 419병상을 확보(8.7.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63.2%로 154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73병상의 여력이 있다.
○ 중환자병상은 총 807병상을 확보(8.7.기준)하고 있으며, 전국 312병상, 수도권 148병상이 남아 있다.
< 중증도별 병상 현황 >
구분 | 생활치료센터 | 감염병 전담병원 | 준-중환자병상 | 중환자병상 | |||||
보유 | 가용 | 보유 | 가용 | 보유 | 가용 | 보유 | 가용 | ||
전국 | 16,683 | 7,162 | 8,330 | 2,278 | 419 | 154 | 807 | 312 | |
수도권 | 13,054 | 5,591 | 3,698 | 735 | 267 | 73 | 494 | 148 | |
중수본 | 3,088 | 1,430 | - | - | - | - | - | - | |
서울 | 5,424 | 2,574 | 1,946 | 414 | 84 | 44 | 221 | 56 | |
경기 | 3,583 | 1,285 | 1,301 | 76 | 160 | 28 | 202 | 72 | |
인천 | 959 | 302 | 451 | 245 | 23 | 1 | 71 | 20 | |
비수도권 | 3,629 | 1,571 | 4,632 | 1,543 | 152 | 81 | 313 | 164 | |
중수본 | 1,012 | 339 | - | - | - | - | - | - | |
강원 | 184 | 95 | 388 | 123 | 5 | 5 | 24 | 8 | |
충청권 | 274 | 105 | 1,112 | 320 | 46 | 25 | 65 | 29 | |
호남권 | 361 | 197 | 860 | 507 | 10 | 5 | 51 | 27 | |
경북권 | 146 | 10 | 1,028 | 264 | 28 | 19 | 66 | 41 | |
경남권 | 1,553 | 795 | 1,009 | 208 | 58 | 24 | 99 | 51 | |
제주 | 99 | 30 | 235 | 121 | 5 | 3 | 8 | 8 |
○ 이러한 병상 확보 노력과 함께 의료기관, 생활치료센터, 임시 선별검사소, 예방접종센터 등에 의사, 간호사 등 2,618명의 의료인력을 파견하여 치료와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4.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이행상황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이행상황’을 점검하였다.
□ 8월 7일(토) 18시 기준 자가격리 관리 대상자는 총 9만 5476명으로, 이 중 해외 입국 자가격리자는 2만 6797명, 국내 발생 자가격리자는 6만 8679명이다.
○ 전체 자가격리자는 전일 대비 771명 증가하였다.
□ 정부는 서울, 인천, 경기, 부산의 방역 취약시설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기 위해 소관 부처,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정부합동 특별점검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7개 분야* 총 80,197개소의 점검(7.8~8.6)을 실시(6개 부처·지자체 등 763명 참여)하였다.
* 학원·교습소, 식당·카페, 유흥시설, 실내체육시설, 노래연습장, 목욕장·숙박시설, 종교시설
○ 점검 결과, 방역수칙 위반사항 12,534건을 적발하여, 이 중 1,465건은 지자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하였고, 11,069건을 현장에서 안내·계도 조치하였다.
○ 지자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한 시설(1,465건)에 대한 위반사항을 분석한 결과,
- 시설별로는 식당·카페(719건, 49.1%), 숙박시설(222건, 15.2%), 실내체육시설(150건, 10.2%) 순으로 3개 분야 시설에서 전체 위반시설의 74.4%를 차지하였다.
* 노래연습장 143건, 학원시설 79건, 종교시설 58건, 유흥시설 42건, 목욕장업 42건 등
- 위반유형별로는 방역수칙 게시·안내 미흡(775건, 52.9%), 환기·소독 관리 미흡(231건, 15.8%), 발열 등 증상 확인 및 출입제한 미흡(100건, 6.8%) 순으로 3개 위반유형이 전체 위반유형의 75.5%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 출입명부 관리 96건, 마스크 미착용 55건, 음식섭취 47건, 거리두기 미흡 32건, 집합금지 위반 17건, 공용물품 사용금지 등 기타 72건
○ 정부는 특별점검단 운영을 통해 취약시설 및 유형에 대한 집중적인 점검체계를 운영하는 한편, 영세·소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방역수칙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
□ 8월 7일(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식당·카페 15,291개소, ▲학원 1,724개소 등 23개 분야 총 23,847개소를 점검하여, 방역수칙 미준수 23건에 대해 현장지도하였다.
○ 한편, 클럽·감성주점 등 유흥시설 1,080개소를 대상으로 경찰청 등과 합동(104개 반, 427명)으로 심야 시간 특별점검을 실시하였다.
'코로나 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항체 검사 (2) | 2021.08.11 |
---|---|
8~9월 접종계획에 따라 예방접종 실시 (6) | 2021.08.10 |
[카드뉴스]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거리두기 2주간 연장(8.9. ~ 8.22.) (7) | 2021.08.06 |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2주 연장(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2) | 2021.08.06 |
발달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이용자 등 예방접종 사전예약 실시 (1)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