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49세 청장년층 사전예약은 9.18(토)까지 추가 예약 가능 -
1. 예방접종 현황 및 18~49세 예약 안내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8월 23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한 사람이 25,910,685명으로 전 국민의 50.5%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 이 중 접종 완료자(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는 11,565,121명으로, 전 국민의 22.5%이다.
○ 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1차 접종 기준으로 60대 및 70대가 91.7%로 가장 높았고, 80세 이상 81.8%이며, 7월 마지막 주부터 접종이 시작된 50대*는 76.0%가 1차 접종을 완료하였다.
□ 아울러 추진단은, 현재 18~49세 연령층 대상 사전예약이 진행 중이며, 9월 18일(토) 18시까지 추가 예약이 가능하다고 다시 한번 안내했다.
○ 아직까지 예약을 못한 분들께서는 예약에 동참하시어 접종을 꼭 받으실 수 있도록 당부드린다.
2. 국제항해종사자(선원) 예방접종 시작 백신 접종 시작 |
□ 코로나19 예방접종추진단은 국제항해 종사자(선원)에 대한 예방접종을 8.23(월)부터 실시한다.
○ 국내 단기 체류로 인해, 18~49세 예방접종 사전예약이 어렵거나, 접종일정을 맞추지 못하는 내국인 선원에 대한 예방접종이며,
- 장기간 선상 생활, 3 밀(밀집·밀접·밀폐) 환경으로 집단발생 위험이 높아 별도 접종을 추진하였다.
○ 접종 대상자는 약 1만명이며 지정된* 보건소 및 접종센터에서 8.23(월) ~9.30(금)까지 접종받을 수 있다.
* 부산, 인천, 전남(여수, 목포) 지정 보건소 5곳, 예방접종센터 14곳
- 또한, 접종 백신은 30세 이상은 얀센 백신, 30세 미만은 화이자 백신이다.
3.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 오늘(8.23), 모더나 백신 101.7만 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한다.
* 편명: KE0256, 도착시간 8.23(월) 14:40
○ 이로써 7월 1일부터 8월 23일까지 2,529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었으며 누적 4,392만 회분의 백신이 공급되었다.
-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되는 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4.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결과 (25주차) |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25주 차, 8.22. 0시 기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36,299,704건 중 이상반응은 153,183건(25주 신규 신고건수 12,839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42%(1차 0.48%, 2차 0.28%)으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5%(146,215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4.5%(6,968건)이었으며, 백신 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56%, 화이자 백신 0.30%, 얀센 백신 0.68%, 모더나 백신 0.35%이었다.
[누적 예방접종 건수 대비 이상반응 의심사례 신고율] ※ 이미지 본문 참조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모든 접종 완료자는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 또한,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접종 후 드물지만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또는 길랑-바레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어 다음과 같은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아울러,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 증후군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5.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평가 결과 분석 (~8.20.) |
1)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 심근염 1례(화이자)
2)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2례(아스트라제네카), 뇌정맥동 혈전증 1례(아스트라제네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 저하 1례(아스트라제네카), 급성 심낭염 1례(화이자)
3) 아나필락시스 심의 사례 中 중증 아나필락시스는 14건(인과성 인정 11건·불인정 3건)
□ 예방접종 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현재까지 총 27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 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심의하였다.
○ 신고 사례 총 1,833건(사망 536건, 중증 737건, 아나필락시스 560건) 중 212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205건)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25건(사망 2건, 중증 23건)은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로 평가되었다.
* 근거가 불분명한 사례의 경우 향후 근거가 확보되는 시점에서 재평가할 예정이며, 1천만 원 이내의 중증 이상반응 의료비를 지원하고 있음
□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제27차 회의(8.20.)에서는 신규 55건 및 재심의 1건을 포함하여 총 99건(사망 26건, 중증 30건, 아나필락시스 43건)을 심의하였다.
○ 아나필락시스 17건에 대해 인과성이 인정되었고, 중증 1건(길랑-바레 증후군 1건)은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로 평가되었다.
○ 그 외 사망 및 중증 53건, 아나필락시스 26건에 대해서는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사망 1건 및 중증 2건은 재평가하기로 하였다.
□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제27차 회의(8.20.)에 제출된 신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사례를 분석한 결과,
○ 신규 사망 신고 사례 26건의 평균 연령은 77.6세(범위 56~100세)였고, 이 중 25건(96%)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한 백신은 화이자(16건)와 아스트라제네카(10건)였다.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허혈 심장질환 등
○ 신규 중증 신고 사례 29건의 평균 연령은 62.1세(범위 17-84세)였고, 이 중 29명(100%)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9.3일(범위 13시간∼57일),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17건), 화이자(8건), 교차접종(1건), 얀센(3건)이었다.
제로의 생각 : 연령대별 1차 접종률이 60대에서 70대는 91프로이다 예상외로 많이 맞으셨다.
그리고 제일 경제적으로 이바지하고 있는 젊은 층 18세부터 49세까지는 9월 18일까지 추가 예약 가능하다고 한다.
지금 예약한 사람이 많이 예약이 안되어있기 때문에 정부에서 일부로 예약하는 기간을 늘려 준거 같은 느낌이다.
부디 뉴스에서 코로나 주사 맞고 사망했다는 뉴스를 보고 두려워서 안 맞겠다고 하시지 마시기를 뉴스를 보면은 미
국에 안 맞겠다고 했던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뉴스도 제발 보시고 나 하나쯤이라는 젊은 안일한 생각 해서 한 사람이
안 맞아서 그 사람으로 인해 바이러스가 다시 번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코로나 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49세(청장년층) 예방접종 실시 안내 (6) | 2021.08.27 |
---|---|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 (2) | 2021.08.26 |
9월 첫째 주(8월 마지막 주)까지 모더나 백신 701만 회분 공급, 예방접종 차질 없이 추진 (0) | 2021.08.23 |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 8주 연속 증가 추세 (2) | 2021.08.20 |
휴가 복귀 후 발열 등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즉시 검사받아야 합니다 (1) | 2021.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