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방접종 후 일주일 정도 고강도 운동 및 활동, 음주 삼가 -
1. 예방접종 현황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8월 26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한 사람이 27,076,636명으로 전 국민의 52.7%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 이 중 접종 완료자(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는 13,358,239명으로, 전 국민의 26.0%이다.
○ 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1차 접종 기준으로 60대 92.5%, 70대 92.1%, 50대 83.8% 순으로 높았고, 18~49세 청장년층은 기존 우선접종 대상 군 및 잔여백신 등을 통하여 이미 접종받은 대상이 약 35.6% 수준이다.
○ 18~49세 청장년층 중 사전예약 대상자의 예약률은 67.2%(총 1,510만 명 중 1,014만 명)이며, 이미 접종받았거나 다른 대상군으로 예약한 분들(814만 명)을 고려하면 현재까지 실제 인구(약 2241.5만 명) 대비 약 81.5%가 접종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아직까지 접종 예약을 하지 않으신 분들은 9월 18일(토) 18시까지 예약할 수 있다.
○ 당초 추석 이후 날짜로 예약하신 분들 중 예약 일정을 앞당기고자 하시는 분들은 예약 취소 후 다시 예약하여 더 빠른 날짜로 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
- 백신 배송을 위해 9월 둘째 주(9.6.~12.) 예약은 8월 26일 24시까지 실시하며, 8월 27일부터는 9월 셋째 주 이후(9.13.~10.2.) 예약 및 변경이 가능하다.
2. 18-49세 예방접종 실시 및 안전접종 안내 |
□ 18~49세 연령층 예방접종이 오늘(8.26.)부터 전국 위탁의료기관과 예방접종센터에서 실시된다.
○ 8월 26일(목)부터 9월 5일(일)까지의 예약자는 지역과 관계없이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받게 되며, 대상자별 백신 종류는 백신 공급 상황에 따라 주 단위로 순차적으로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 8.26.∼29. 예약자에 대해서는 백신 종류가 문자 안내되었으며, 8.30.∼9.5. 예약자에 대해서는 오늘 중 문자 안내 예정
○ 다만, 백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당일 접종기관 상황에 따라 안내된 것과 다른 종류의 mRNA 백신으로 변경될 수 있다.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모든 접종 완료자는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다음과 같은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접종 후 심근염/심낭염 이상반응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어,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일주일 정도 고강도 운동 및 활동, 음주를 삼가고, 가슴통증, 호흡곤란 등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3. 청장년층 코로나19 발생 현황 |
□청장년층(20~49세)의 코로나19 발생현황은 ‘21.8.26. 기준으로 총 119,509명 확진(전체 확진자의 49.1%)이며, 연령군별로는 20대 44,375명(18.2%, 인구 10만 명당 652명), 30대 36,478명(14.9%, 인구 10만 명당 531명), 40대 38,656명(15.89%, 인구 10만 명당 466명)이다.
○ 청장년층(20~49세)의 사망자 발생현황은 ‘21.8.26. 기준으로 총 41명(전체 사망자의 1.8%)이며, 연령군별로는 20대 8명(치명률 0.02%), 30대 11명(0.03%), 40대 22명(0.06%)이다.
○ 청장년층(20~49세)의 위중증 환자 발생현황은 ‘21.8.26. 기준으로 총 719명(전체 위중증 환자의 12.77%)이며, 연령군별로는 20대 67명(위중증률 0.15%), 30대 193명(0.53%), 40대 459명(1.19%)이다.
□최근 7주간(7.4~8.21) 코로나19 국내 발생 환자를 분석한 결과, 20~40대 연령군의 환자발생 비중(8월 3주 55.8%, 6,832명)이 가장 높았으며, 일평균 발생률(8월 3주 인구 10만 명당 4.4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 20~40대 일평균 발생률 : (7월2주) 2.7명 → (7월 5주) 3.7명 → (8월 3주) 4.4명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최근 7주간(‘21.7.4.~8.21.) 연령별 발생률 추이 그림 붙임 참조>
○ (감염경로) 20~40대 연령군에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 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 비중은 지속적으로 40% 이상이며, 조사 중 비율(33.9%)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20~40대 확진자 접촉 비중 :(7월2주) 40.1%(1,800명) → (7월 5주) 43.4%(2,632명) → (8월 3주) 47.6%(3,363명)
- 8월3주의 경우, 지역 집단발생(15.1%, 1,067명) 중 사업장 관련(6.8%, 478명), 기타 다중이용시설* 관련(5.7%, 405명) 순으로 감염경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 기타다중이용시설 관련: 체육시설, 유흥시설, 일반음식점/카페, 노래연습장, 교육시설 등
※ 추후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감염경로 세부사항은 변동될 수 있음
○ (위중증) 최근 7주간(7.4~8.21) 20~40대 위중증 환자는 417명(위중 중률 1.0%)이었으며, 위중 중 환자 중 미접종자가 412명(98.8%)으로 대부분이었으며, 1차 접종자는 4명(1.0%), 접종 완료자는 1명(0.2%)이었다.
○ (사망) 최근 7주간(7.4~8.21) 코로나19 사망자로 보고된 177명 중 20~40대 사망자는 13명(7.3%)이었으며, 이 중 10명은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주요 기저질환은 악성신생물(4명), 순환기계 질환(4명), 내분비계·대사성 질환(4명) 등이었다.
* 20~40대 사망자(13명) 연령 : 20대 5명, 30대 3명, 40대 5명
4. 청장년층 예방접종 효과 |
□ 18-49세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감염 및 중증 예방 효과는 다음과 같다.
○ 접종 완료자 발생 시작 시점인 4월 3일부터 8월 14일까지 해당 연령대 확진자의 예방접종력을 분류한 결과 18~49세 확진자 중 93.7%가 미접종자, 4.2%가 불완전 접종자, 2.1%가 완전접종자였다.
- 연령대별로는 18-29세의 96.3%, 30-39세의 91.4%, 40-49세의 92.4%가 미접종자였다.
○ 예방접종에 따른 위중증 및 사망 예방 효과 평가를 위해 5월 1일 이후 18-49세 확진자 3만 5,826명을 대상으로 확진 이후 28일 이내 위중증 및 사망 여부를 추적 관찰하여 비교한 결과,
ㆍ분석대상 : ’21년 5.1.∼7.24. 18-49세 확진자 35,826명 (확진 후 28일 관찰기간 경과자) ㆍ중증화율 : (위중증자 및 사망자 수)/확진자 수 x 100 (%) |
- (중증 예방 효과) 미접종자 중 중증 화수*는 292명(중증화율 0.85%)인 반면, 접종완료자 중 중증화수*는 1명(중증화율은 0.17%)이었다.
* (중증 화수) 위중 증자 및 사망자 수
- (사망예방 효과) 미접종자 중 사망자는 8명(치명률 0.02%)인 반면, 접종 완료자 중 사망자는 없었다.
제로의 생각 - 위의 표에서 보셨다시피 예방접종 효과가 뛰어나게 나타나고 있다. 백신이 완벽하게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다만 예방차원에서라도 꼭 우리나라 경제의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젊은 층이 하루라도 빨리 모두 접종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코로나 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7세 소아청소년 및 임신부 접종 가능 (0) | 2021.08.31 |
---|---|
외국인 근로자 방역대책 추진 (2) | 2021.08.30 |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 (2) | 2021.08.26 |
60~70대 연령층 91.7% 1차접종 완료 (0) | 2021.08.24 |
9월 첫째 주(8월 마지막 주)까지 모더나 백신 701만 회분 공급, 예방접종 차질 없이 추진 (0) | 2021.08.23 |